40년이 넘는 전통과 내실 있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
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적 자질을 갖춘 역사 교사를 양성

역사교육과

40년이 넘는 전통 역사교육과

  • 중등학교 정교사 2급(역사) 취득

    40년이 넘는 전통과 내실 있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적 자질을 갖춘 역사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교육·학문 공동체

  • 우수한 임용고시 합격 성과

    최근 3년간 22명 임용고시 합격 (2022-2024)

졸업 후 진로

  • 공립 및 사립학교 교사

  • 일반 및 교육행정직 공무원

  • 문화재청 국립박물관 등 공공기관

주요 취업 성과

  • 최근 3년간 우수한 임용고시 합격

취득 자격증

교육과정

  • 1학년

    • 한국사개론
    • 동양사개론
    • 서양사개론
    • 서양고대사
    • 동아시아고대사
  • 2학년

    • 한국고대사
    • 한국중세사
    • 동아시아중세사
    • 서양근대사
    • 역사교육론
  • 3학년

    • 역사학개론
    • 역사교과교육론
    • 동아시아강독 및 연구론
    • 동서교류사
    • 사학사
  • 4학년

    • 현대세계와 한국
    • 한국사상문화사
    • 역사교과논리 및 논술
    • 역사교육과 디지털리터러시

SILLA UNIVERSITY

주요프로그램

2학년 - 1학기

 
 과목명동아시아중세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0.5/0.5 5B251
  • 위진남북조시대부터 元末까지의 중국사회가 唐末五代를 기점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, 아울러 북방민족의 융성과 정복왕조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본다.
 과목명진로지도 III과목코드
학점/시수 - 42410
  • 진로, 학사, 대학생활, 취업 등에 관한 상담지도를 통해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생들의 인성 함양과 취업 증진에 기여한다. 학생들의 고충처리 및 인성 지도뿐만 아니라, 졸업 후에도 사제 간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.
 과목명서양중세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1719
  • 게르만족의 이동에서 르네상스에 이르는 서양중세의 봉건제도의 성립과 그 본질, 해체와 자본주의 이행과정을 중심으로 강의한다.
 과목명역사교육과 문화적상상력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D611
  • 역사교육을 통해 문화적인 상상력을 기를 수 있음을 이해한다. 세계사와 한국사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고 그 결과를 표현하는 활동을 경험함으로써, 오늘날 삶의 여러 국면과 역사를 연결하여 생각하는 힘을 기른다.
 과목명한국고대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2158
  • 한국고대사의 연구성과를 개관하고, 한국고대사상의 제 문제를 검토하여 한국고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한다.

2학년 - 2학기

 
 과목명동아시아근대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B252
  • 명·청시대사를 개관하면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사의 전통적 체제의 여러 측면을 전반적으로 이해한다.
 과목명서양근대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9723
  •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전환기인 1400년대의 르네상스기부터 제국주의 사조가 일어난 187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유럽사, 특히 르네상스, 종교개혁, 절대왕정 및 시민혁명 등의 중요한 내용을 분석 고찰한다.
 과목명역사교육론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B295
  • 역사학의 일반적 이해를 위해 역사의 개념, 역사학의 본질문제를 비롯하여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온 사관 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, 사료의 수집과 비판, 역사학의 서술방법, 역사이론의 지도방법 등을 학습한다.
 과목명일본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6246
  •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일본사를 개관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흐름과 한국, 중국 등 동아시아 제국과의 관계와 그 변화과정을 이해한다.
 과목명한국중세사과목코드
학점/시수 - 53916
  • 고려시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제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한국중세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한다.
 과목명진로지도 IV과목코드
학점/시수 - 42410
  • 진로, 학사, 대학생활, 취업 등에 관한 상담지도를 통해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생들의 인성 함양과 취업 증진에 기여한다. 학생들의 고충처리 및 인성 지도뿐만 아니라, 졸업 후에도 사제 간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.